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고고약사입니다~
환절기가 다가오면서 감기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 감기약을 복용하시면서 흔히 하는 질문 중 하나가 피해야 할 음식이 있나요? 특히 커피 마셔도 돼요? 라는 질문인데요. 이에 대한 답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아시다시피 감기에 대한 치료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감기를 이기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우리 면역 시스템이 감기 바이러스에 대항하여 온전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 주는 것입니다. 고열로 인해 몸이 탈수되는 것을 막고 기관지의 점액질이 충분히 분비되도록 하여 외부 세균들의 침입을 막아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카페인이 많이 함유된 커피나 홍차의 경우에는 이뇨작용을 촉진시켜 우리 몸의 수분을 고갈시키기 때문에 피해야 할 음식입니다.
또한 카페인은 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면역시스템의 균형이 깨지게 만듭니다. 자율신경계는 면역세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면역반응은 억제되게 됩니다. 외부로부터 침입한 바이러스와 세균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항체 생성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는데 카페인은 그 과정을 억제합니다. 더욱이 각성 작용으로 충분한 수면을 방해하기 때문에 감기를 이겨낼 힘을 얻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반대의 의견도 있습니다.
커피의 폴리페놀(Polyphenol) 이라는 항산화제 때문입니다. 특히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페룰산(ferulic acid) 와 카페산(caffeic acids)때문인데요.
항산화제인 폴리페놀들의 항세균, 항바이러스, 항염 작용에 의해서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하지만 커피의 가장 확실한 장점 중 하나는 에너지 부스팅 효과입니다.
커피 한잔의 각성효과로 인해 감기에 대한 걱정을 덜어 주는 정신적인 안정제 역할하기 때문에 병을 이겨내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감기에 걸려 능률이 저하되었을 때 따뜻한 커피 한잔은 항상 독이 되진 않습니다.
하지만 복용하고 있는 감기약과의 상호작용은 간과하시면 안 됩니다.
특히 복용하는 감기약 중에 슈도에페드린(pseudoephedrine) 성분의 약이 들어있다면 카페인 섭취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슈도에페드린은 비충혈제거제로 코막힘 증상이 있을 때 흔하게 처방되는 감기약입니다. 제품명으로는 슈다페드라는 약이 있는데요. 슈도에페드린과 카페인 모두 각성효과가 있기 때문에 불면증 환자나 부정맥이 있는 심장질환 환자는 복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감기약이나 해열진통제 속에 카페인이 추가로 포함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중복해서 복용하게 되는 건 아닌지 잘 확인할 필요도 있습니다.
그럼 결론은?
드시는 감기약에 카페인 또는 슈도에페드린 성분이 없을 경우
매일 커피 하루 한두 잔 즐겨 드시는 분이라면 감기 때문에 굳이 커피를 끊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커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심적 안정감이나 활력은 병으로 인한 컨디션 저하를 회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탈수 등으로 인해 회복이 더뎌 질까 걱정이 되신다면 커피양을 반으로 줄이시거나 디카페인 커피를 드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커피를 드시기 전에 충분한 물이나 음료를 복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드시는 감기약에 카페인 또는 슈도에페드린 성분이 있다면
커피는 복용을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호흡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사추천] 약사가 목 아플 때 먹고 뿌리는 약!? #편도염 #인후염 (0) | 2019.10.08 |
---|---|
기관지 건강 지켜주는 환절기 대비 식품들! (0) | 2019.09.30 |
'감기약 계속 먹어도 돼요?' 콧물약 '항히스타민제' 장기복용 괜찮을까? (0) | 2019.09.30 |
- Total
- Today
- Yesterday